"카톡 망했다" 평점 1.0점 추락...사상 최악의 업데이트15년 만의 대개편, 일주일 만에 백기 든 이유안녕하세요. 디지털에이전시 이앤아이입니다.
"카톡 업데이트 절대 하지 마세요!"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 이런 경고가 난무하고 있어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15년 만에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는데, 사용자들의 반응이 최악이거든요.
구글 플레이 평점 1.0점, 역대 최저 기록9월 23일 카카오톡이 선보인 새 버전에 대한 평가는 참혹했어요. 구글 플레이스토어 평점이 기존 4.2점에서 불과 일주일 만에 1.0점으로 추락했거든요. 318만 5098명 중 98.11%인 312만 4788명이 1점을 준 거예요.
애플 앱스토어에도 "보고 싶지도 않은 사람들 사진을 이렇게 봐야 하나" "SNS가 아니라 메신저임을 자각하라" 같은 리뷰가 쏟아졌어요. "카톡 망했다" "끔찍해졌다"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반응이 주류를 이뤘죠.
친구 목록이 인스타그램 피드로 변했어요가장 큰 비판을 받은 건 '친구 탭' 개편이에요. 기존에는 간단한 친구 목록이 보였는데, 이제는 인스타그램처럼 친구들의 프로필 변경 내역과 사진이 타임라인 형태로 나타나거든요.
"거래처 아저씨가 내 프로필에 전부 하트 누르고 다닌다" "부장님 사진을 왜 봐야 하나" 같은 불만이 속출했어요. 업무용으로도 많이 쓰이는 카카오톡 특성상, 원하지 않는 사생활 노출이 큰 문제가 된 거죠.
자동 업데이트 끄는 방법까지 공유돼사태가 심각해지자 사용자들은 자동 업데이트를 막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공유했어요. "카톡 자동 업데이트 대참사 막는 법" "절대 업데이트하면 안 되는 이유" 같은 글이 온라인에 넘쳐났거든요.
중장년층 사용자들은 네이버밴드나 단체대화방을 통해 업데이트 방지 팁을 나눴고, 유튜브에는 관련 숏폼 콘텐츠가 확산됐어요. 심지어 카카오 공식 유튜브 계정의 개편 소개 영상은 댓글을 아예 막아버렸고요.
일주일 만에 철회, 무엇이 문제였나결국 카카오는 개편 시작 일주일 만인 9월 29일, 피드형 친구 탭을 철회하고 기존 친구 목록을 복원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의 본질을 "소통의 실패"로 진단했어요. 이데일리는 "핵심은 소통의 실패"라고 지적했고, 세계일보는 "소비자들을 이길 수 있는 기업이 있을까"라고 물었죠.
카카오는 체류 시간 증가를 통한 광고 매출 확대를 노렸지만, 메신저 본연의 가치를 지키고 싶은 사용자들의 바람과 정면으로 충돌한 거예요.
대학·병원 웹사이트도 교훈 삼아야이번 카카오톡 사태는 대학이나 병원 웹사이트에도 시사하는 바가 커요. 사용자 중심이 아닌 운영자 중심의 개편, 충분한 사전 소통 없는 급격한 변화는 결국 실패로 이어진다는 교훈이거든요.
아무리 좋은 기능을 추가해도, 사용자들이 원하는 핵심 가치를 해치면 안 된다는 걸 카카오톡이 뼈아프게 보여줬네요.
이앤아이와 함께 더 나은 웹 환경을 만들어 나가요!
#카카오톡대개편 #카카오톡논란 #친구탭개편 #평점1점 #카톡업데이트 #메신저SNS화 #사용자경험 #UX디자인 #소통의실패 #국민메신저 #이앤아이 #디지털에이전시 #대학교홈페이지 #병원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