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정자원 화재 3주, 709개 정부시스템 반쯤 살아났다'3시간 복구' 약속은 어디 가고...3주 만에 절반만 살아난 정부전산망안녕하세요. 디지털에이전시 이앤아이입니다.
9월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가 벌써 3주를 넘겼습니다.
그동안 정부는 끊임없이 복구 작업을 진행해왔는데요, 17일 현재 복구율이 47.9%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709개 정부 정보시스템 중 340개가 정상화된 겁니다. 진전이 있긴 하지만, 어? 뭔가 아쉬운 기분이 드시죠?
사실 정부 자신도 이 정도는 훨씬 빨리 해낼 거라 예상했습니다.
3년 전만 해도 강동석 당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당당하게 말했거든요. "화재나 지진으로 전산망이 한꺼번에 소실돼도 실시간 백업된 자료로 3시간 이내에 복구할 수 있다"고요.
그 약속은 어디 갔을까요? 현실은 3주 이상 걸렸고, 아직도 650여 개 시스템이 복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좋은 소식도 있긴 합니다.
중요도가 높은 시스템부터 차근차근 살아나고 있거든요. 이번 주 신규 복구된 '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시스템'과 '초중등실용통계교육시스템'이 대표 사례입니다.
특히 장기이식은 응급성이 높아 각 병원과 의료기관에서 초조해하던 시스템이었습니다. 생명과 직결된 업무니까요.
등급별 복구 현황을 보면 1등급(가장 중요)은 40개 중 31개가 복구돼 77.5%, 2등급 68개 중 41개가 복구돼 60.3%입니다. 반면 3등급은 52.5%, 4등급은 38.2%에 그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1·2등급 미복구 시스템 290여 개를 정상화한다는 목표를 세웠고, 나머지 76개는 11월 20일까지 마무리한다는 계획입니다.
다만 복구가 완전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완전히 불에 탄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현재 대구센터로 이전되는 중입니다. 이들을 새로 구축해 정상 가동할 때까지는 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거든요.
특히 대학, 병원, 공공기관처럼 국가 인프라를 운영하는 곳들은 이런 시스템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서, 복구 지연이 곧 국민 불편으로 이어집니다.
이 사태가 시사하는 건 명확합니다.
국가 전산망 같은 중요 인프라는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철저한 백업과 이원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거죠. 정부도 이번 기회에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에 나섰길 바랍니다.
이앤아이와 함께 더 나은 웹 환경을 만들어 나가요!
#국정자원화재 #정부시스템복구 #정보시스템마비 #재난대응 #병원시스템 #공공기관 #전산망장애 #장기이식시스템 #대학시스템 #인프라복구 #이앤아이 #디지털에이전시 #대학교홈페이지 #병원홈페이지